티스토리 뷰


인테리어 바닥자재 종류별 장단점 총정리

집 전체에 깔려 있는 바닥은 어떤 자재를 선택하냐에 따라 집안의 분위기를 좌우 할수 있는 매주 중요한 요소입니다.

인테리어를 위해 도배장판을 새로 하겠다 결심했다면 어떤 제품으로 각 방을 꾸밀 것인지 소재와 디자인을 확정해야 합니다. 인테리어를 진행해보면 바닥에 사용하는 자재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자재에 따라 시공비용도 크게 달라지는 것을 경험하게 됩니다. 본 글에서는 바닥 자재의 종류와 함께 각 소재의 장단점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장판

바닥하면 떠오르는 가장 대중적인 자재는 장판입니다. 

장점 : 장판의 가장 큰 장점은 저렴한 비용입니다. 바닥에 사용하는 소재중 가장 저렴한 소재로 보통 세입자용 인테리어를 할 때에는 장판을 많이 사용합니다. 또한 얇은 두께 때문에 겨울철 보일러의 온도를 바로 전달해주는 장점도 있습니다.

단점 : 얇은 장판은 오랜기간 사용하면 찢기거나 들뜸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그만큼 내구성이 약한 소재입니다. 한번 손상되면 부분 수리가 어려워 전체를 갈아야 한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2. 원목마루

자연 그대로의 나무느낌을 전해주는 소재가 원목마루입니다.

장점 : 자연그대로의 편안함, 자연스러운 인테리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단점 : 설치 비용이 비싼편이며 나무 소재가 물기에 약해서 장기간 사용 시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강화마루

원목 느낌은 내고 싶지만 관리가 좀 더 쉬운 소재를 사용하고 싶을 때 많이 선택하는 소재가 강화마루입니다. 강화마루는 합판에 우드무늬의 필름지를 부착해 만들며 표면을 강화처리한 소재입니다.

장점 : 일반 소재에 비해 내구성이 높고 설치와 철거가 모두 간편합니다.

단점 : 낱개로 된 마루의 홈을 끼워서 시공하는 강화마루는 바닥에 접착되는 형태가 아닙니다. 때문에 다른 소재들에 비해 열 전도율이 낮고 걸을 때 층간소음이 더 크게 발생하는 바닥재입니다.

 

4. 강마루

강마루는 나무 합판을 필름으로 코팅해 만듭니다. 강화마루와 함께 원목 느낌을 내고 싶을 때 많이 선택하는 소재중 하나입니다.

장점 : 바닥에 접착해 시공하는 소재이기 때문에 열전도율이 좋고 층간소음도 상대적으로 좋은 편입니다. 오래된 아파트의 경우 바닥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가 많은데 강마루는 낱개 조각을 일일이 붙여서 시공하기 때문에 장판에 비해 고르지 않는 바닥의 경사를 커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점 : 접착 시공이라서 설치 시간이 더 오래 걸립니다. 철거 시 일일이 접착제를 제거해야 해서 철거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5. 타일

타일을 집안 전체에 소재로 사용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보통 대리석 느낌을 내고 싶은 거실에 비싼 대리석 대신 타일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보통 포세린 타일이나 비앙코 타일을 거실 바닥 시공에 사용합니다.

장점 : 타일은 대리석보다 저렴하게 대리석 느낌을 낼 수 있고 다른 소재에 비해 오염에 강합니다. 또한 다른 소재들에 비해 오랜 시간 변형이 없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단점 : 미끄러운 소재로 반려동물이 있거나 어린아이가 있는 집에는 추천하지 않는 소재입니다. 내구성도 약한 편이라 사용하다 보면 깨질 위험이 있습니다.

 

바닥 자재 선택 시 고려할 점

각 소재별 장단점을봐도 어떤 소재를 선택해야할지 결정하기 어렵다면 아래 요소들을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1. 생활 패턴

내가 살 집의 가족 구성원에 따라 어울리는 바닥 자재 소재를 생각해보셔야 합니다. 아이가 있거나 반려동물이 있어 층간소음을 조심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강화마루는 피해야 할 소재입니다. 하지만 내가 사는 집이 1층이어서 층간소음이 상관없다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강화마루를 설치해 볼만 합니다. 전셋집이거나 잠깐 거주할 집에 바닥 공사를 하는 거라면 굳이 비싼 소재로 인테리어를 할 필요 없습니다. 가장 저렴한 소재로 바닥 공사를 해도 인테리어 분위기는 충분히 바꿀 수 있으니 이럴 때에는 장판을 선택하시는 게 좋습니다. 

2. 예산 

바닥 자재별 가격도 천차만별입니다. 일반적으로 장판이 가장 저렴하긴 하나 장판도 브랜드와 두께에 따라 가격이 달라집니다. 요즘은 좋은 소재의 두꺼운 장판들도 잘 나와 있어서 새집 인테리어에 장판 시공도 많이 하는 추세입니다. 바닥 설비 비용은 시공 공정이 많이 들수록 더 비싸진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당연히 강화마루보다는 접착 시공을 하는 강마루가 시공비가 더 비쌉니다. 방과 거실을 모두 한 소재로 통일하지 않아도 괜찮으니 예산에 따라 거실만 다른 소재를 사용하거나 특정 방만 소재를 바꾸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3. 전체 인테리어 분위기

바닥 자재에 따라 낼 수 있는 컬러가 달라집니다. 인테리어 진행 시 내가 연출하고 싶은 집안 분위기와 내가 선택한 소재가 부합하는지를 생각해 보셔야 합니다. 

 

여기까지 인테리어 바닥자재에 정리해 봤습니다. 바닥 선택 시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