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선물거래에서 TP(Take Profit)와 SL(Stop Loss)는 필수적인 리스크 관리 도구입니다. 이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적절히 설정하는 것은 수익을 극대화하고 손실을 최소화하는 핵심 전략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TP와 SL의 뜻, 설정 방법, 그리고 주의해야 할 사항까지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TP(Take Profit)와 SL(Stop Loss)의 의미

 

 

1) TP(Take Profit)란?

TP(Take Profit)는 목표 수익 지점을 의미합니다. 즉, 자산 가격이 특정 수준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포지션이 청산되어 수익을 실현하는 기능입니다.

  • 목적: 이익을 확정하고 시장 변동성으로 인해 다시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
  • 작동 방식: 미리 설정한 가격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포지션 종료
  • 활용 예시:
    • 비트코인 롱(매수) 포지션을 60,000달러에 진입했으며, 목표 가격을 65,000달러로 설정 → 가격이 65,000달러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매도되며 이익 실현
    • 반대로 숏(매도) 포지션을 60,000달러에서 잡고 목표 가격을 55,000달러로 설정 → 55,000달러에 도달하면 자동 청산

2) SL(Stop Loss)란?

SL(Stop Loss)은 손실 제한 지점을 의미합니다. 즉, 자산 가격이 특정 손실 수준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포지션이 청산되어 추가 손실을 방지하는 기능입니다.

  • 목적: 감당할 수 있는 손실을 미리 정하고 예상치 못한 시장 변동에서 계좌를 보호
  • 작동 방식: 미리 설정한 가격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포지션 종료
  • 활용 예시:
    • 비트코인 롱(매수) 포지션을 60,000달러에 진입했으며, 손실을 58,000달러까지만 감당할 수 있음 → 58,000달러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매도되어 추가 손실 방지
    • 반대로 숏(매도) 포지션을 60,000달러에서 잡고, 손절 가격을 62,000달러로 설정 → 62,000달러에 도달하면 자동 청산

TP와 SL을 올바르게 설정하면 감정적인 매매를 방지하고, 계획된 전략을 안정적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TP와 SL 설정 방법

1) TP 설정 방법

TP를 설정할 때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는 시장 상황, 저항선(Resistance), 목표 수익률, 리스크-리워드 비율(Risk-Reward Ratio)입니다.

기본적인 TP 설정 방법

  1. 기술적 분석 활용:
    • 저항선, 피보나치 되돌림(Fibonacci Retracement), 이동 평균선 등을 활용해 목표 가격 설정
    • 예: 비트코인 가격이 60,000달러일 때, 저항선이 65,000달러라면 이를 TP로 설정
  2. 리스크-리워드 비율 고려:
    • 일반적으로 1:2 이상의 비율(즉, 1달러 손실당 2달러 이상 수익 목표)을 설정
    • 예: 손절 가격이 58,000달러라면, TP를 64,000달러 이상으로 설정
  3. 시장 변동성 반영:
    • 변동성이 높은 시장에서는 TP를 넉넉히 설정하여 과도한 조기 청산 방지
    • 예: BTC 변동성이 높다면 TP를 넉넉히 잡아 67,000달러로 설정

2) SL 설정 방법

SL 설정은 손실을 제한하고 계좌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손실 감내 수준, 지지선(Support), 시장 변동성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기본적인 SL 설정 방법

  1. 기술적 분석 활용:
    • 지지선, 이동 평균선 등을 기반으로 손절 가격 설정
    • 예: 60,000달러에서 매수했을 때, 58,000달러가 주요 지지선이라면 이를 손절가로 설정
  2. 감당할 수 있는 손실 기준 설정:
    • 전체 자산의 1~2% 이상을 한 번의 거래에서 손실 보지 않도록 설정
    • 예: 10,000달러 투자 시, 1% 손실이면 100달러 → SL을 1% 손실에 맞게 설정
  3. 시장 변동성 고려:
    • 변동성이 클 경우 SL을 너무 좁게 설정하면 쉽게 손절 발생
    • ATR(Average True Range) 같은 변동성 지표를 참고하여 SL 조정

이처럼 TP와 SL은 시장 상황과 리스크 관리 전략을 기반으로 신중하게 설정해야 합니다.

 

TP와 SL 설정 시 주의사항

1) 감정적 거래 피하기

TP와 SL을 설정했음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조금 변동할 때마다 조정하는 것은 좋은 습관이 아닙니다. 한 번 설정한 TP와 SL을 유지하며 계획된 전략을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너무 짧은 SL 설정 금지

손실을 최소화하려는 의도로 SL을 너무 짧게 설정하면, 시장의 일시적인 변동에 의해 쉽게 청산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시장 변동성을 고려한 SL 설정이 필요합니다.

 

3) TP와 SL 간 균형 유지

일반적으로 리스크-리워드 비율(Risk-Reward Ratio)은 최소 1:2 이상이 바람직합니다. 즉, 1달러 손실을 감수한다면 최소 2달러 이상의 수익 목표를 설정해야 장기적으로 수익성이 높아집니다.

 

4) 변동성이 높은 시장에서는 TP와 SL 조정 필요

가상화폐나 원자재 선물 시장처럼 변동성이 큰 자산은 고정된 TP와 SL보다는 시장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가격 변동성이 급격히 커질 경우 TP를 조금 더 넓게 설정하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5) 트레일링 스탑(Trailing Stop) 활용

트레일링 스탑은 시장이 유리한 방향으로 움직일 때 자동으로 SL을 조정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활용하면 수익을 극대화하면서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선물거래에서 TP(Take Profit)와 SL(Stop Loss)는 수익을 극대화하고 손실을 제한하는 핵심적인 도구입니다. TP는 목표 수익 지점, SL은 손실 제한 지점으로 설정되며, 이를 잘 활용하면 보다 안정적인 트레이딩이 가능합니다.

📌 핵심 요약

  • -TP는 목표 수익 지점, SL은 손실 제한 지점
  • 기술적 분석, 리스크-리워드 비율, 변동성을 고려해 설정
  • 감정적 거래를 피하고 한 번 설정한 TP와 SL을 유지
  • 너무 짧은 SL은 피하고 트레일링 스탑 등 다양한 전략 활용

TP와 SL을 적절히 설정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트레이딩을 진행해 보세요! 

 

 

비트겟 선물거래 방법 초보자 가이드

비트겟은 코인 현물거래 뿐만 아니라 선물거래를 지원하는 상위 거래소중 한곳이죠. 하지만 선물거래는 국내에서 불가능 한거래라 처음 거래를 하면 방법이 어렵게 느껴지는데요, 오늘은 비트

hatip.tistory.com

 

OKX거래소 선물거래 방법과 수수료 할인 팁

해외거래소의 특징중 하나는 코인 선물거래가 가능하다는 사실입니다. OKX거래소 역시 선물거래가 가능한데요, 거래서 메뉴가 영어로 되어 있고 코인 선물거래가 한국에서는 불가능하다보니 처

hatip.tistory.com

 

MEXC 거래소 증정금 이벤트 참여 방법

요즘 해외거래소 사용하는 분들 많으시죠? 국내는 거래소수가 한정되어 있고 선물거래도 안되다보니 저도 해외거래소를 종종 이용하는데요, 오늘은 그중 신규가입 혜택이 좋은 MEXC거래소의 증

hatip.tistory.com

 

오늘도 성투하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