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대형폐기물 스티커 발급방법

이사갈때 가장 골칫거리중 하나는 집에서 나온 대형 폐기물들이죠. 고장난 가구, 가전, 이불 등 대형폐기물이 생각보다 많이 나옵니다. 이런 대형쓰레기들은 그 종류에 따라 쉽게 나눠 버릴수 있습니다.

 

대형폐기물 스티커 인터넷 발급

아직도 대형폐기물스티커를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해서 힘들게 발급받고 계시나요?

요즘은 인터넷/앱으로 모두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집에서  버릴 쓰레기 종류를 선택해서 신고만 하면 신고 번호가 접수되고 해당 번호를 폐기물에 부착해 두면 수거 업체에서 지정된 날에 대형폐기물을 수거해 갑니다.

 

대형폐기물 스티커 신고는 어디서 하나?

이는 지역마다 사이트가 다른데요, 내가 사는 지역명 + 대형폐기물이라고 검색하면 신고처가 바로 나옵니다.

이렇게 검색해도 안나온다면? 거주지역의 구청이나 시청 홈페이지에서 대형폐기물을 검색해 보시면 됩니다.

 

전국적으로 편하게 이용하는 대형폐기물 신고방법은 빼기 앱을 이용하는것입니다.

빼기 (bbegi.com)

 

빼기 | 국내 최대 AI기반 대형폐기물 배출 서비스

국내최대 환경자원 데이터 플랫폼, 빼기 사진 한 장으로 대형 폐기물 배출 신고. 무거운 대형물품 운반 도움. 폐기물 중고 판매

bbegi.com

빼기 앱을 사용하는 경우 서비스 가능한 지역이 있고 아닌 지역도 있으니 앱 설치전에 서비스 가능지역인지 먼저 검색해보고 사용하세요~ 전국적으로 제휴가 되어 있어서 어지간한 지역들은 대부분 빼기 예약번호로 대형 폐기물 신고가 가능 합니다.

여기서도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신고하는것과 같은 방법으로 배출할 대형쓰레기를 선택하고 비용을 지불하면 접수 번호가 나옵니다. 해당 번호를 쓰레기에 부착한후 지정된 장소에 배출하면 됩니다.

 

우리가 흔히 대형폐기물 스티커를 꼭 붙어야 한다고 알고 있는데 스티커가 아닌 종이로 신고번호만 적어두면 수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대형폐기물 스티커 비용 아끼는 방법

나에게는 쓰레기지만 누군가에게는 자원이 될수도 있습니다. 이사갈때 버릴 가구를 대형쓰레기로 내 놓기전에 사진찍어서 당근 앱에 올려보세요. 오래된 가구라면 돈을 받기는 힘들겠지만 무상으로 가져가라고 하면 가져가는 분들을 쉽게 만날수 있습니다. 돈을 벌 목적 보다는 쓰레기 스티커 비용을 아끼고 자원도 재활용할수 있으니 1석2조 입니다. 

당근앱을 잘 쓰지 않는다면 거주지역의 맘카페에 올리는 방법도 있습니다. 저는 이방법으로 안쓰는 책상, 책장 모두 처리 했습니다. 

 

 

 

폐 가전제품 버리는 방법

일단 버릴 대상이 가전이라면 돈을 들여 스티커를 발급하지 않아도 됩니다. 가전제품은 부품을 활용해서 쓸 수 있기때문에 순환거버넌스에서 무상으로 방문수거를 해 갑니다.

 

폐 가전제품 무상방문수서 신청 : https://15990903.or.kr/

 

폐가전제품 무상방문수거 서비스

 

15990903.or.kr

 

폐 가전제품중 가장 골치가 아픈게 바로 에어컨인데요.

에어컨은 무상수거를 신청하려면 실외기를 모두 탈착 시켜놔야만 가져갑니다.

하지만 우리처럼 일반인들이 실외기 탈착을 혼자하기에는 너무 어렵습니다.

이럴때는 당근을 활용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당근앱에 가전제품 무료로 가져가라는 글을 올리면 그 지역에서 가전제품을 수거하는 업자분들에게 바로 연락이 옵니다.

오래된 에어컨의 경우 에어컨을 탈착시키고 버리는것 자체에도 돈이 드는데 무상수거를  요청하면 자진해서 가져가시는 분들이 정말 많습니다.

 

저 역시 10년 넘은 에어컨을 당근을 통해 쉽게 처리 했네요. 보통 이런분들이 폐가전을 모두 수거하시기 때문에 에어컨을 가져가실때 다른 가전제품도 가져가시냐고 물어보면 대부분 같이 수거해 주십니다.

 

이렇게 대형폐기물 스티커 발급 방법과 함께 무상수거 신청방법을 알려 드렸습니다.

 

이사시 주소변경 방법

이사를 하게되면 집으로 오는 우편물이 새로운 집으로 올수 있도록 주소 변경을 해야합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가입되어 있는 사이트들은 많고 일일이 기억하기가 힘들기때문에 주소 변경이

hatip.tistory.com

 

이사시 해야할일 - 전기 가스 수도 관리비 정산방법

이사를 할때면 현재 살고 있던 집의 모든 공과금과 가구, 가전을 정리 해야합니다. 집안에서 쓰던 눈에 보이는 물건들은 이삿짐센터를 이용해 이동하면 되니 간단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공과

hatip.tistory.com

 

이사 가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