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충청남도 재난지원금 100% 지급 확정

국민의 12%는 받을 수 없었던 5차 재난지원금인 코로나 상생 국민 지원금. 신청 완료하셨나요? 이 지원금은 10월 29일까지 신청 접수를 받고 있는데요, 10월에는 경기도민중 상생 국민 지원금을 못 받은 12%에게 도 예산으로 재난지원금이 지급되어 접수가 시작되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시민 100%에게 재난지원금을 지급하는 지역이 또 나왔네요. 바로 충청남도입니다. 이로써 경기도에 살고 있거나 충청남도에 살고 있다면 5차 재난지원금은 100% 지급받게 되었습니다.

 

재난지원금 100% 지급이 되는 충청남도에 해당하는 지역은?

천안시, 공주시, 보령시, 아산시, 서산시, 논산시, 계룡시, 당진시, 금산군, 부여군, 서천군, 청양군, 홍성군, 예산군, 태안군, 

 

이번 충청남도 재난지원금은 충남도 예산 50%와 시,군 예산 50%로 구성되었습니다. 그런데 당진시에서는 시민 100% 지급에 반대하여 시 예산을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고 합니다. 그래도 도 예산은 지급되기 때문에 당진시민중 재난지원금을 받지 못한 12%는 25만 원이 아닌 50%에 해당하는 12만 5천 원을 받게 될 전망입니다.

 

충청남도 재난지원금 지급대상은?

지급 대상은 정부의 상생국민지원금을 받지 못한 상위 12%의 충청남도 거주 도민입니다.

 

충청남도 재난지원금 지급금액은?

5차 재난지원금액과 같은 1인당 25만원이 지급됩니다. (당진시민은 12만 5천 원)

 

 

 

충남도 재난지원금 신청방법은?

일단, 도에서 지급 확정 발표를 한 상황으로 실제 신청과 지급 시기는 시군별로 조금씩 다를 것으로 보입니다. 대부분 10월 중 신청 접수를 마감하겠지만 시작일자는 조금씩 다릅니다. 현재 일정 발표는 아산시만 완료된 상태입니다.

 

충남 아산시 재난지원금 신청방법

신청일 : 2021년 10월 5일부터 접수

신청 장소 : 주소지 행정복지센터 방문신청, 미성년자는 세대주가 일괄 신청 가능

수령 방법 :아산 페이와 선불카드 중 선택해서 수령

지급 예정일 : 2021. 10.10일 이후 예정

 

상위 12%에게 100% 지급한다는 원칙은 합의가 완료되었으니 구체적인 일정은 10월 초에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5차 재난지원금을 받지 못해 속상하셨던 충남도 거주 도민 여러분은 조금만 기다려 보시면 되겠습니다!

 

충남도 재난지원금은 아래 충청남도청에서 운영하는 사이트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경제지원

충남도청

www.chungnam.go.kr

 

10월에는 정부의 새로운 재난지원금 정책 중 하나인 상생 소비 지원금 신청도 시작되는 달입니다. 거주 지역 상관없이 누구나 신청 가능한 지원금이니 상생소비지원금 신청도 놓치지 마세요!

 

상생소비지원금 신청 방법과 카드캐시백 총정리

상생 소비 지원금 카드 캐시백 신청방법 10월 1일부터 신청 접수가 시작되는 상생 소비 지원금 신청방법이 드디어 확정되었습니다. 공식 홈페이지가 아닌 카드사에서 신청을 하고 카드 사용금액

hatip.tistory.com

 

코로나 백신 접종 증명서 발급방법 이렇게 하시면됩니다!

코로나 백신 접종 증명서 발급방법 요즘 코로나19 백신접종 완료하신분들 많으시죠? 접종이 완료되면 코로나 백신 접종 증명서를 받을수 있습니다. 이 증명서는 우리가 늘 가지고 다니는 핸

hatip.tistory.com

 

배달앱 비대면 외식할인쿠폰 1만원신청 방법

배달앱 비대면 외식 할인쿠폰 1만 원 신청방법 재난지원금 지급이 한참인 요즘 코로나 환자수가 급증하기 전이었던 지난 7월에 정부 주도하에 진행되었던 비대면 외식 할인쿠폰 사업이 7월에 중

hatip.tistory.com

 

국민지원금 사용처 확인방법과 주의 사항

국민 지원금 사용처 확인방법과 주의 사항 코로나 상생 국민 지원금 잘 받으셨나요? 지급을 받긴 했는데 어디서 쓸 수 있고 어디서는 쓸 수 없는지 헷갈리지는 않으신가요? 국민 지원금 사용처

hatip.tistory.com

 

경기도에 이어 충청남도까지! 100% 재난지원금을 지급하는 지역이 점점 확대되길 바라봅니다.

반응형
댓글